숫자,영문 아스키코드값
·
알고리즘
숫자0~9까지 아스키코드 : 48~57 영문a~z까지의 아스키코드값대문자 : 65~90소문자 : 97~122 기본적으로는 알아두자!
다이나믹프로그래밍 DP (=동적계획법) [문제 해결 전략]
·
알고리즘/문제 해결 전략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DP ( = 동적 계획법)하나의 큰 문제를 여러개의 작은 문제로 나눠서 그 결과를 저장하여 다시 큰 문제를 해결할 때 사용하는 문제 해결 법을 말한다.기억하며 풀기라고 할 수 있다. 다이나믹 프로그래밍은 분할정복과 비슷한데 여기서 주어진 문제를 나눌 때 부분 문제를 최대한 많이 이용하도록 나눈 후 주어진 부분 문제의 정답을 한 번만 계산하고 저장해둔 뒤 다음에 또 나오면 저장해둔 정답을 사용하며 속도를 향상시킨다. 방법론 1. 메모이제이션배열로 -1 -1 -1 입력한 상태에서 부분적으로 답이 나오면 채워 넣는다.이미 채워져있을 경우 그 값을 사용한다. function fibbo(n) if memo[n] != -1 // 이미 n번째 값을 구해본 적이 있다면 ..
Tree(트리)의 개념, 이진 트리 ,이진 트리 종류 [자료구조]
·
알고리즘/자료구조
트리 :  두 지점의 연결관계로 구성되어지고 계층 관계가 존재한다는 것이 특징이다.트리는 노드로 이루어진 자료구조로 스택이나 큐와 같은 선형 구조가 아닌 비선형 자료구조이다. 트리에서 쓰이는 용어들을 공부해보자.노드 : 각 지점을 의미하며 ( 정점이라고도 불린다. )간선 : 두 노드를 연결하는 선 ( 예지 라고도 불린다.)루트 노드 : 트리에서 맨 꼭대기를 의미한다.부모 자식 : 위에있는 것이 부모, 아래에 있는 것이 자식이라고 한다.차수 : 특정 노드를 중심으로 자식이 몇 개 있는지를 의미한다.깊이 : 루트 노드와 얼마나 떨어져있는지를 의미한다.높이 : 트리에서 깊이가 가장 깊은 높이 , 루트노드의 깊이를 0이라 했을때 가장 긴 깊이에 1을 더한 값리프 노드 : 자식을 가지고 있지 않은 노드트리에는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