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CO 모듈

[SAP/FI] FI모듈에 대해 알아보자

지니어스팍 2025. 5. 18. 18:14

FI모듈이란?

재무회계(Financial Accounting, FI) 모듈 또는 FI 모듈은 기업의 재무회계 업무를 지원하는 모듈로서 기업의 경영활동을 기록• 정리하여기업 외부에 공표할 목적으로 작성되는 재무제표 등 각종보고서를 신속하게 작성하는 업무를 지원하며, 기업 활동으로 발생한 고객과 공급업체에 대한 채권 및 채무에 대한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재무회계 모듈은 이들에 대한 실시간 조회 및 분석을 지원하는 기능 등을 제공한다.

 

출처 : SAP ERP 개론

 

 

재무회계 모듈이 지원하는 주요기능은 위 그림과 같이 채권관리, 총계정원장, 고정자산관리, 채무관리로 구성되어 있다.

 

채권관리 : 기업이 영업활동 및 비영업활동과 관련하여 받을 모든 채권들에 대하여 세부적으로 분류하여 관리한다.

 

총계정원장 : 기업의 경영활동에서 발생한 모든 거래를 통합 관리하며 재무제표 생성, 예산통계, 세무보고 등의 활동을 지원한다.

 

고정자산관리 : 토지나 건물, 기계장치 처럼 상대적으로 장기간 보유하고 있는 고정자산들에 대해 관리한다. 비유동자산의 유형자산을 관리한다.

 

채무관리 : 기업이 영업활동 및 비영업활동과 관련하여 지불해야할 모든 채무들에 대해 세부적으로 분류하여 관리한다.

 

재무제표

기업의 기본적인 재무정보를 일정한 기준에 따라 요약한 보고서로 제무재표가 제공하는 주요내용은 기업의 재무상태, 일정 기간의 경영성과 , 자본 구성의 증감내역, 현금 흐름 등이다.

기본 재무제표
├── 재무상태표          → 재무상태 (자산, 부채, 자본)
├── 포괄손익계산서      → 경영성과 (수익, 비용, 순이익)
├── 자본변동표          → 자본구성 항목의 증감
└── 현금흐름표          → 현금흐름의 변동

 

SAP FI 모듈의 조직구조

FI(재무회계) 모듈은 기업의 회계 업무를 처리하기 위해 조직 구조를 설정한다. 주요 구성요소로는 계정과목표, 사업영역, 여신관리영역 등이 있다.

 

1. 계정과목표 (Chart of Accounts, COA)

계정과목표는 회사에서 사용하는 모든 회계 계정(GL 계정)을 모아놓은 목록을 의미한다.
회사코드는 법적으로 재무제표를 작성해야 하는 독립된 단위이므로, 최소 하나의 계정과목표를 지정해야 한다.
이는 회사가 재무제표를 작성할 때 어떤 계정을 사용할지를 정해주는 기준이 된다.

 

2. 사업영역 (Business Area)

사업영역은 회사 내부에서 손익계산서와 재무상태표를 따로 생성할 수 있는 회계 단위를 말한다.
각 사업영역은 독립적인 부문처럼 운영되며, 예를 들어 지역별, 제품별로 나누어 설정할 수 있다.
회사가 여러 사업영역을 보유할 경우, 자산·부채·자본 등의 항목을 사업영역별로 분리하여 관리한다.
SAP 시스템은 이러한 분리를 통해 각 사업영역의 실적을 개별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한다.

 

3. 여신관리영역 (Credit Control Area)

여신관리영역은 고객의 신용 한도를 설정하고 관리하는 단위를 말한다.
일반적으로는 회사코드 단위로 설정하지만, 여러 회사코드가 하나의 여신관리영역을 공유할 수도 있다.
동일한 여신관리영역 내에 속한 고객은 동일한 신용 한도 기준을 적용받는다.
이를 통해 고객의 외상거래를 효율적으로 통제하고 신용 위험을 관리한다.

 

 

이러한 조직 구조를 기반으로 FI 모듈은 기업의 재무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회계처리를 수행한다.

 

출처 : 

 

SAP ERP를 중심으로 한 ERP 개론 | 생능출판사

ERP는 글로벌 경쟁 체제 구축을 위한 경영혁신의 도구와 디지털 경제에서 e-비즈니스 기업으로 전의(e-Transformation)를 위한 기반으로 해외는 물론 국내의 대부분의 대기업들은 ERP를 이미 도입하여

www.booksr.co.kr

 

728x90